티스토리 뷰

SSH - CLIENT :  호스트 OS  (IP: 198.1.168.189)

SSH - SERVER : 게스트 OS  ( UBUNTU)

VM : VirtualBox



1. VM 네트워크 설정

   ㄱ. NAT

   ㄴ. 포트 설정( 포트 포워딩)

      - 호스트의 사용하지 않는 특정 포트를 게스트의 SSH 포트로 연결






   


2. 우분투에  OPENSSL-SERVER  설치 확인 (없으면 설치)

      패키지 확인 명령어 

       dpkg   -l  grep '패키지'

     설치 명령어 

     apt-get -y install openssh

    

3. 우분투 22번 포트 확인(SSH는 22번 포트 사용)



4. 호스트 OS의 포트 확인 

  - 예를 들어 192.168.1.1:20000  <- 호스트 OS의 20000 포트로 게스트 OS SSH 포트와 연결할 경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호스트 OS의 20000 포트가 사용 가능한지 확인 필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WINDOW :: 방화벽에서 포트 확인후 없으면 추가(인바운드 규칙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MAC  :      netstat -an | grep 20000   포트가 열여있는지 확인(방화벽이 켜있다면 확인)




5. 호스트 OS의 SSH-CLIENT 설치 확인



6. SSH 접속

    명령어 

    ssh -p 포트  username@ip 또는 도메인

    ex) ssh -p 20000 sadon@198.168.1.1 



%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(SecureCRT, Putty, iTerm, 기타 등등)

            

     










'서버(우분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Ubuntu go 설치  (0) 2018.12.12
bash 쉘 자주 쓰는 alias  (0) 2018.12.11
VIM 자주 쓰는 설정  (0) 2018.12.11
[VM] 우분투 아파치 설치 및 구동  (0) 2018.12.11
우분투 명령어  (0) 2018.12.11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글 보관함